#인플루언서
인스타그램(META)을 시작으로, 유튜브(Google)와 X(트위터), 카카오톡 리밴스드 버전까지 AI 자동 제재 시스템으로 인해 정당한 사유 없이 계정이 갑자기 정지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오류에 대한 응대 역시 자동화되어 있어 개인이 비활성화된 계정을 복구하는 데엔 어려움이 있습니다.
의뢰인은 다수의 K-POP 곡에 참여한 아티스트로, 의뢰인에게 인스타그램은 자신이 수년간 쌓아온 작업물을 아카이브해둔 공간이자 디스코그래피 포트폴리오였습니다.
그러던 중, 의뢰인의 일상 계정이 ‘계정 무결성에 관한 커뮤니티 규정 위반’으로 일시 차단되었고, 즉시 재고 요청을 하였으나, 곧이어 일상 계정과 연결되어 있던 포트폴리오 계정마저 ‘계정 무결성 관련 규정 위반’을 이유로 일시 차단되었습니다. 의뢰인은 메타가 안내한 절차에 따라 정지된 계정 복구를 위하여 여러 시도를 해보았지만 끝내 ‘영구 비활성화’ 조치를 통보받았습니다.
안형서 변호사는 소송 서류에 준하는 형식과 구조로 해당 사안을 분석하고, 계정 비활성화의 경위와 메타의 제재 근거를 검토하였습니다. AI 자동 제재 시스템의 오류 가능성과 커뮤니티 가이드라인의 적용 문제 등을 구체적으로 짚어내며 의뢰인의 계정이 복구되어야 하는 당위성을 상세히 주장한 내용증명을 메타 측에 발송하였습니다. 그 결과, 의뢰인의 비활성화된 모든 계정이 정상적으로 복구되어 인스타그램에서 아티스트로서의 활동을 다시 이어갈 수 있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은 SNS를 일상 공유, 지인과의 소통 수단을 넘어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본 사례와 같이 수년의 작업물을 담은 포트폴리오 용도로도 활용하거나 홍보, 영업 활동 등 실질적인 사업 기반이 되기도 합니다. 그런 만큼 ‘계정 정지’는 무형의 재산이 사라지는 것과 같으며 그 손실은 수치로 환산할 수 없기에 초기부터 전문적인 변호사의 조력으로 함께 대응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플랫폼 계정 정지 복구 사례는 묘수 법률사무소의 대표 사례 중 하나로, 계정 정지 이슈를 빠르게 접하여 오랜 시간 다수 수행해 온 사례이기도 합니다. 또한 안형서 변호사는 전문 분야(엔터) 특성상 다양한 플랫폼과 여러 이슈로 소통해 왔기 때문에, 플랫폼 내부의 대응 프로세스와 커뮤니케이션 구조를 깊이 이해하고 있습니다. SNS 계정 정지로 정신적·경제적 피해를 호소하고 계시다면, 플랫폼 대응 경험이 풍부한 안형서 변호사에게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